
브리크매거진(BRIQUE MAGAZINE)은 도시 생활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주거공간을 제안하는 온·오프라인 미디어입니다. 도시인의 삶을 풍요롭게, 일상에 영감을 주는 공간과 라이프스타일을 콘텐츠로 만들어 나눕니다.
신간 ‘나다운 집 찾기’
‘나를 위한 집, 내게 맞는 집은 어떤 것일까?’
현대를 살아가는 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해봤을 주거 환경에 관한 물음을 던지는 교양 도서 ‘나다운 집 찾기’가 출간했다.
책의 저자인 전명희는 위치 기반이 아닌 공간 기반의 부동산 검색 서비스 ‘별집부동산(이하 별집)’을 운영하는 공인중개사이다. 별집은 건축가가 설계한 배려심 깊은 공간이나 복층 주택, 빈티지 아파트 등 기존의 네모 반듯한 공간과는 다른, 남다른 매력을 가진 공간을 찾아 소개한다. 별집의 큐레이션은 투자만을 목적으로 한 부동산 소유를 위해 ‘영끌’하는 동시대 주거 문화 속에서, 나에게 맞는, 나다운 공간을 찾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이 책은 저자가 별집을 운영하면서 겪은 경험담과 중개사로서 전하고 싶은 조언을 에세이 형식으로 엮였다. 책의 구성은 세 파트로 나뉜다.
‘Part 1. 별집이 찾은 특별한 집’에서는 저자가 주택을 중개하는 과정에서 겪은 경험담을 여섯 개 유형으로 나눠 전한다.
‘Part 2. 좋은 집이란?’에서는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공간 감수성’과 독자가 좋은 집에 대해 정의 내리기 전, 스스로에게 던져보면 좋을 법한 질문에 자문자답한다.
‘Part 3. 나의 집 이야기’에서는 저자가 현재 살고 있는 집을 선택한 과정을 돌아보며 집과 공간에 대한 단상을 전한다. 마지막 부록에서는 저자가 지금껏 고민하며 정리한 ‘나다운 집 찾기 체크리스트’를 제공한다.
이 책은 세 가지 관점에서 읽을 수 있다. 표층적 관점과 심층적 관점, 그리고 한 인물의 성장 스토리로 바라보는 관점이다.
먼저 표층적 관점은 나다운 집이 무엇인지 고민하며 자신의 공간 감수성을 키우고자 하는 교양서로 이 책을 바라보는 관점이고, 심층적 관점은 국내 주거 문화의 현주소와 그로 인해 파생된 부작용이 각 개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서술한 일종의 연구집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마지막 관점은 한 건축 전공자의 성장 스토리로서 바라보는 것이다.

▶▷ 기사 원문 바로보기
글 김태진
자료 파이퍼프레스
발행 브리크매거진
발행일 2024.08.13
브리크매거진(BRIQUE MAGAZINE)은 도시 생활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주거공간을 제안하는 온·오프라인 미디어입니다. 도시인의 삶을 풍요롭게, 일상에 영감을 주는 공간과 라이프스타일을 콘텐츠로 만들어 나눕니다.
신간 ‘나다운 집 찾기’
‘나를 위한 집, 내게 맞는 집은 어떤 것일까?’
현대를 살아가는 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해봤을 주거 환경에 관한 물음을 던지는 교양 도서 ‘나다운 집 찾기’가 출간했다.
책의 저자인 전명희는 위치 기반이 아닌 공간 기반의 부동산 검색 서비스 ‘별집부동산(이하 별집)’을 운영하는 공인중개사이다. 별집은 건축가가 설계한 배려심 깊은 공간이나 복층 주택, 빈티지 아파트 등 기존의 네모 반듯한 공간과는 다른, 남다른 매력을 가진 공간을 찾아 소개한다. 별집의 큐레이션은 투자만을 목적으로 한 부동산 소유를 위해 ‘영끌’하는 동시대 주거 문화 속에서, 나에게 맞는, 나다운 공간을 찾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이 책은 저자가 별집을 운영하면서 겪은 경험담과 중개사로서 전하고 싶은 조언을 에세이 형식으로 엮였다. 책의 구성은 세 파트로 나뉜다.
‘Part 1. 별집이 찾은 특별한 집’에서는 저자가 주택을 중개하는 과정에서 겪은 경험담을 여섯 개 유형으로 나눠 전한다.
‘Part 2. 좋은 집이란?’에서는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공간 감수성’과 독자가 좋은 집에 대해 정의 내리기 전, 스스로에게 던져보면 좋을 법한 질문에 자문자답한다.
‘Part 3. 나의 집 이야기’에서는 저자가 현재 살고 있는 집을 선택한 과정을 돌아보며 집과 공간에 대한 단상을 전한다. 마지막 부록에서는 저자가 지금껏 고민하며 정리한 ‘나다운 집 찾기 체크리스트’를 제공한다.
이 책은 세 가지 관점에서 읽을 수 있다. 표층적 관점과 심층적 관점, 그리고 한 인물의 성장 스토리로 바라보는 관점이다.
먼저 표층적 관점은 나다운 집이 무엇인지 고민하며 자신의 공간 감수성을 키우고자 하는 교양서로 이 책을 바라보는 관점이고, 심층적 관점은 국내 주거 문화의 현주소와 그로 인해 파생된 부작용이 각 개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서술한 일종의 연구집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마지막 관점은 한 건축 전공자의 성장 스토리로서 바라보는 것이다.
▶▷ 기사 원문 바로보기
글 김태진
자료 파이퍼프레스
발행 브리크매거진
발행일 2024.08.13